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국민의힘 34%·민주당 36%… 정당 지지도 계엄 전으로 복귀

조선비즈 조회수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의 정당 지지도가 12·3 비상계엄 사태 전으로 돌아갔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0일 나왔다. 직전 여론조사보다 국민의힘 지지도는 10%P 올랐으나, 민주당 지지도는 12%P 급락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에 찬성하는 여론은 64%로 나타났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입장하고 있다./뉴스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입장하고 있다./뉴스1

한국갤럽은 지난 7~9일 18세 이상 1004명을 조사한 결과, 국민의힘 정당 지지도는 직전 조사인 12월 3주차 조사보다 10%P 올라 34%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민주당 지지도는 직전보다 12%P 내린 36%로 나타났다. 조국혁신당은 5%, 개혁신당은 2%, 무당층은 19%였다.

정당 지지도는 윤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직전 조사인 11월 4주차 수준으로 돌아갔다. 당시 정당 지지도는 국민의힘 32%, 민주당 33%였다. 비상계엄 이후 국민의힘과 민주당의 정당 지지도 격차는 10%P(12월 1주차), 16%P(12월 2주차), 24%P(12월 3주차)로 벌어졌지만, 새해에 들어 격차가 대폭 줄었다.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소추안 가결과 탄핵소추 사유 변경 속에서 진영 대립이 심화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갤럽은 “지난달 중순 민주당 지지도가 현 정부 출범 이래 최고치를 경신하며 국민의힘과 격차를 벌렸는데, 3주 만에 양대 정당 구도가 12.3 비상계엄 사태 이전으로 되돌아간 모양새”라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소추안 가결, 국회의 탄핵소추안 내용 변경 관련 공방, 수사권 혼선과 체포영장 집행 불발 등 난항 속에 진영 간 대립이 한층 첨예해졌다”고 했다.

이어 “이는 기존 여당 지지층의 정권 교체 위기감을 고취하는 한편, 제1야당에 힘 실었던 중도·진보층의 기대감을 잦아들게 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지난달 비상계엄 사태 초기 여당 지지도 낙폭이 크지 않았고, 대통령 탄핵 반대 당론을 시종일관 유지하며 분당 조짐 없었던 점도 8년 전 탄핵 정국과 큰 차이”라고 설명했다.

2025년 1월 2주차 정당 지지도./한국갤럽
2025년 1월 2주차 정당 지지도./한국갤럽

윤 대통령 탄핵과 관련해 찬성은 64%, 반대는 32%로 나타났다. 직전 조사와 비교해 찬성은 75%, 반대가 21%였다. 탄핵 찬성 응답자 11%P가 그대로 반대로 옮겨간 것이다. 갤럽은 “탄핵소추안 가결 직전 대비 중도·보수층 일부가 탄핵 반대로 이동했다”고 분석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의 직무평가는 긍정 31%, 부정 56%로 나타났다.

정치 지도자 선호도에선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32%로 1위를 기록했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8%,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6%, 홍준표 대구시장 5%, 오세훈 서울시장 3%,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각 2%, 우원식 국회의장·김동연 경기지사가 각 1%로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는 무작위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에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응답률은 16.3%이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조선비즈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이이경, 전 여친 정인선 언급 '후폭풍'…"수상소감 연락이 더 많았어"
  • 법무장관 대행 "내란특검법 위헌소지 검토...입장 정해지면 崔대행에 건의"
  • 폭동 "과잉진압"이라는 국민의힘…경찰 '분노'
  • 與, ‘이재명 때리기’ 총력… ‘尹과 거리두기’는 고심
  • 경찰, 안가 CCTV 압색 불발…무소불위 경호처 또 불응
  • 美中 관세 통큰 협상 하나…AI 등 첨단산업은 '전쟁터'

[뉴스] 공감 뉴스

  • [서부지법 사태 후폭풍] ‘여당 책임론’ 띄운 민주당
  • 계엄 관여 장성 4명 보직해임…계엄사령관 박안수는?
  • ‘법원 습격’ 책임 회피 급급한 국민의힘
  • [청론직설] “트럼프2기 중국 강력 견제…기술력으로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야”
  • 수입의존도 낮은 건설업, ‘치솟는 달러’에 주목하는 이유
  • 매출 4조 전망 넥슨, 가파른 성장세 크래프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BYD가 이 정도였어?” 독일차 뺨치는 1085마력 고급 전기차 듀오 공개
  • “무파업 운영? 그런 건 없다” 광주 자동차 일자리, 결국 일 났다!
  • “이러니 현토부 소리 듣지” 국산차에 유리한 새로운 전기차 규정
  • “다들 중국 따라하기” 이젠 테슬라도 중국한테 한 수 접었다!
  • “설 연휴에 운전할 아빠들 필독!” 서울시, 연휴 정체 막기 위해 내린 결단
  • “10년째 불륜 속 임신” 김민희, 임신 중에도 64세 홍상수 위해 운전하는 미니쿠퍼
  • “한국에서 이러지 마 제발”불법체류 무면허 운전자와 사고 났을 때 대처법
  • “2천만원대 그랜저급 하이브리드 세단!” 국내 출시하라 난리난 이 차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전체 2순위 지명, 그러나 0G+8G+7G 전부였는데…시즌 속공-블로킹 TOP 5 실화야? 198cm MB가 알 깨고 나왔다

    스포츠 

  • 2
    '연속성 강화' Next-Level Training Camp 탈바꿈, 류지현·허문회 등 KBO 감독 출신 대거 투입

    스포츠 

  • 3
    현대차, 인도 마이크로모빌리티 비전 발표

    차·테크 

  • 4
    연간 여행 계획, 1월에 세우는 이유! "기대할 것이 필요해"

    여행맛집 

  • 5
    SBS 동상이몽2, '결혼 4년 차' 슬리피.. "들킨 것만 두 번째..." 8살 연하 아내 앞 무릎 꿇은 사연

    연예 

[뉴스] 인기 뉴스

  • 이이경, 전 여친 정인선 언급 '후폭풍'…"수상소감 연락이 더 많았어"
  • 법무장관 대행 "내란특검법 위헌소지 검토...입장 정해지면 崔대행에 건의"
  • 폭동 "과잉진압"이라는 국민의힘…경찰 '분노'
  • 與, ‘이재명 때리기’ 총력… ‘尹과 거리두기’는 고심
  • 경찰, 안가 CCTV 압색 불발…무소불위 경호처 또 불응
  • 美中 관세 통큰 협상 하나…AI 등 첨단산업은 '전쟁터'

지금 뜨는 뉴스

  • 1
    한온시스템, 조직개편 단행…4개 '지역비즈니스그룹' 신설

    차·테크 

  • 2
    공개 열애 9개월 만에…'3세 연상연하' 미주♥송범근, 안타까운 소식 전해졌다

    연예 

  • 3
    하나투어, '2030 전용' 또래끼리 떠나는 ‘밍글링 투어 Light’ 론칭

    여행맛집 

  • 4
    "1000만 달러 이상 제안할 의향 있었다" 그럼에도 샌디에이고는 왜 日 괴물을 놓쳤나

    스포츠 

  • 5
    마카체프의 진짜 목표 "UFC 더블 챔피언 되고 싶다. 미들급 챔피언 두 플레시스와 싸울 것"

    스포츠 

[뉴스] 추천 뉴스

  • [서부지법 사태 후폭풍] ‘여당 책임론’ 띄운 민주당
  • 계엄 관여 장성 4명 보직해임…계엄사령관 박안수는?
  • ‘법원 습격’ 책임 회피 급급한 국민의힘
  • [청론직설] “트럼프2기 중국 강력 견제…기술력으로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야”
  • 수입의존도 낮은 건설업, ‘치솟는 달러’에 주목하는 이유
  • 매출 4조 전망 넥슨, 가파른 성장세 크래프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BYD가 이 정도였어?” 독일차 뺨치는 1085마력 고급 전기차 듀오 공개
  • “무파업 운영? 그런 건 없다” 광주 자동차 일자리, 결국 일 났다!
  • “이러니 현토부 소리 듣지” 국산차에 유리한 새로운 전기차 규정
  • “다들 중국 따라하기” 이젠 테슬라도 중국한테 한 수 접었다!
  • “설 연휴에 운전할 아빠들 필독!” 서울시, 연휴 정체 막기 위해 내린 결단
  • “10년째 불륜 속 임신” 김민희, 임신 중에도 64세 홍상수 위해 운전하는 미니쿠퍼
  • “한국에서 이러지 마 제발”불법체류 무면허 운전자와 사고 났을 때 대처법
  • “2천만원대 그랜저급 하이브리드 세단!” 국내 출시하라 난리난 이 차

추천 뉴스

  • 1
    전체 2순위 지명, 그러나 0G+8G+7G 전부였는데…시즌 속공-블로킹 TOP 5 실화야? 198cm MB가 알 깨고 나왔다

    스포츠 

  • 2
    '연속성 강화' Next-Level Training Camp 탈바꿈, 류지현·허문회 등 KBO 감독 출신 대거 투입

    스포츠 

  • 3
    현대차, 인도 마이크로모빌리티 비전 발표

    차·테크 

  • 4
    연간 여행 계획, 1월에 세우는 이유! "기대할 것이 필요해"

    여행맛집 

  • 5
    SBS 동상이몽2, '결혼 4년 차' 슬리피.. "들킨 것만 두 번째..." 8살 연하 아내 앞 무릎 꿇은 사연

    연예 

지금 뜨는 뉴스

  • 1
    한온시스템, 조직개편 단행…4개 '지역비즈니스그룹' 신설

    차·테크 

  • 2
    공개 열애 9개월 만에…'3세 연상연하' 미주♥송범근, 안타까운 소식 전해졌다

    연예 

  • 3
    하나투어, '2030 전용' 또래끼리 떠나는 ‘밍글링 투어 Light’ 론칭

    여행맛집 

  • 4
    "1000만 달러 이상 제안할 의향 있었다" 그럼에도 샌디에이고는 왜 日 괴물을 놓쳤나

    스포츠 

  • 5
    마카체프의 진짜 목표 "UFC 더블 챔피언 되고 싶다. 미들급 챔피언 두 플레시스와 싸울 것"

    스포츠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