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NBS 여론조사 “탄핵 기각해 직무에 복귀시켜야 한다…33%” 응답율 더 높아진다…야권, 보수층 과표집 ’평가 절하’

더 퍼블릭 조회수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후 현재의 탄핵 정국에 이르는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아진다는 여론조사가 우후죽순 나오고 있다.

이를 두고 윤 대통령의 현 상황을 두고 보수층이 결집했다는 평가도 나오지만 이 같은 여론조사가 보수층의 여론조사 응답이 이례적으로 늘어나 과표집된 측면도 강한 만큼,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이 민심을 오독해선 안 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10일 한국일보 보도에 따르면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4개 기관이 9일 발표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를 보면 ‘헌법재판소가 탄핵을 인용해 파면해야 한다’는 응답은 62%, ‘탄핵을 기각해 직무에 복귀시켜야 한다’는 33%로 각각 집계됐다. 모름·무응답은 5%였다.

아울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윤 대통령 체포 시도에는 ‘필요한 조치’라는 응답이 59%, ‘과도한 조치’라는 의견은 37%로 나타났다.

다만 지난달 19일 같은 기관 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탄핵 찬성은 16%포인트 줄고, 반대는 15%포인트 늘어났다.

앞서 지난달 14일 국회의 윤 대통령 탄핵소추 가결에 대해 찬반을 묻는 질문에서 ‘잘된 결정’이라는 응답은 78%, ‘잘못된 결정’이라는 응답은 18%로 나타난 바 있다.

또 불법계엄 국면 초반 크게 벌어졌던 여야 지지율 격차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19일 조사에서 민주당 39%, 국민의힘 26%로 두 자릿수 격차를 보였지만, 이번에는 민주당 36%, 국민의힘 32%로 오차 범위(±3.1%포인트) 이내에서 팽팽했다. 특히 서울에서는 국민의힘 지지율이 32%로 민주당(28%)과 비슷했다.

반면 새해 들어 국민의힘 지지도는 34.5%, 더불어민주당 지지도는 45.2%를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6일 발표됐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2∼3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천1명을 대상으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한 결과, 1월 1주차 국민의힘 지지도는 전주보다 3.8%포인트(p) 상승했고, 더불어민주당은 전주보다 0.6%p 하락했다.

리얼미터는 “민주당이 3주 연속 하락한 반면 국민의힘은 3주 연속 상승했다”며 “양당 간 차이는 10.8%p로 좁혀지며 15주째 오차범위 밖(±3.1%p)을 이어갔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무선(97%)·유선(3%)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4.9%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하면 된다)

이를 두고 한국일보는 이 같은 여론조사 흐름이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이 고무될 일은 아니라는 지적이 높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체포영장 집행 시도 이후 보수층의 설문조사 응답률이 크게 오른 데 따른 거품 효과”라고 지적했다고 전했다.

실제 3주 전 조사와 비교하면 여론조사 응답률은 18.5%에서 22.8%로 4.3%포인트 뛰었는데 보수 지지층이 설문에 적극 응답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응답자 성향을 보면 3주 전에는 진보 286명, 중도 334명, 보수 276명, 모름·무응답 106명이었다. 이번 조사에는 진보 291명, 중도 293명, 보수 328명, 모름·무응답 87명이 응답했다.

보수 응답자는 52명 증가한 데 비해 진보는 5명 증가했고, 중도는 41명 줄어든 것이다.

엄 소장은 “국민의힘이 이런 조사 결과에 취해 있다가 조기 대선을 맞게 되면 60일 만에 태세를 바꾸기 어려워 참패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더 퍼블릭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트럼프가 도울 것’ 서부지법 폭동에도 공유된 그들만의 세계관
  • 영덕군사회복지사협회, 제8대 이유삼 회장 취임식 성황리에 개최
  • "미국은 22년이던데"…'혐의만 7개' 서부지법 습격 시위대, 처벌 수위는?
  • 인천 재난관리기금 규모 급감
  • 이이경, 전 여친 정인선 언급 '후폭풍'…"수상소감 연락이 더 많았어"
  • 법무장관 대행 "내란특검법 위헌소지 검토...입장 정해지면 崔대행에 건의"

[뉴스] 공감 뉴스

  • 폭동 "과잉진압"이라는 국민의힘…경찰 '분노'
  • 與, ‘이재명 때리기’ 총력… ‘尹과 거리두기’는 고심
  • 경찰, 안가 CCTV 압색 불발…무소불위 경호처 또 불응
  • 美中 관세 통큰 협상 하나…AI 등 첨단산업은 '전쟁터'
  • [서부지법 사태 후폭풍] ‘여당 책임론’ 띄운 민주당
  • 계엄 관여 장성 4명 보직해임…계엄사령관 박안수는?

당신을 위한 인기글

  • “훔친 외제차로 역주행, 12명 부상” 범인은 ADHD 주장하는 중국인
  • “BYD가 이 정도였어?” 독일차 뺨치는 1085마력 고급 전기차 듀오 공개
  • “무파업 운영? 그런 건 없다” 광주 자동차 일자리, 결국 일 났다!
  • “이러니 현토부 소리 듣지” 국산차에 유리한 새로운 전기차 규정
  • “다들 중국 따라하기” 이젠 테슬라도 중국한테 한 수 접었다!
  • “설 연휴에 운전할 아빠들 필독!” 서울시, 연휴 정체 막기 위해 내린 결단
  • “10년째 불륜 속 임신” 김민희, 임신 중에도 64세 홍상수 위해 운전하는 미니쿠퍼
  • “한국에서 이러지 마 제발”불법체류 무면허 운전자와 사고 났을 때 대처법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단호박 새우 오징어 튀김 만드는법, 텐동 소스 만들기

    여행맛집 

  • 2
    '尹옹호' 노현희·최준용, 서부지법 시위 참여 '경찰에 욕설' [이슈&톡]

    연예 

  • 3
    박진영 아버지 임종 바로 직후에도 생방송 참여 "내 베스트 프렌드 아빠" 애도 물결

    연예 

  • 4
    다음뉴스, 24시간 뒤 사라지는 ‘타임톡’ 댓글 서비스 바꾼다?

    차·테크 

  • 5
    LG CNS, 미국 베어로보틱스와 MOU…“로봇으로 물류 혁신”

    차·테크 

[뉴스] 인기 뉴스

  • ‘트럼프가 도울 것’ 서부지법 폭동에도 공유된 그들만의 세계관
  • 영덕군사회복지사협회, 제8대 이유삼 회장 취임식 성황리에 개최
  • "미국은 22년이던데"…'혐의만 7개' 서부지법 습격 시위대, 처벌 수위는?
  • 인천 재난관리기금 규모 급감
  • 이이경, 전 여친 정인선 언급 '후폭풍'…"수상소감 연락이 더 많았어"
  • 법무장관 대행 "내란특검법 위헌소지 검토...입장 정해지면 崔대행에 건의"

지금 뜨는 뉴스

  • 1
    ‘싱글맘’ 장가현, 이혼 후에도 남편 빚..도대체 얼마길래

    연예 

  • 2
    금호타이어, '2024년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 신규 취득

    차·테크 

  • 3
    어린이 뮤지컬 ‘만복이네 떡집’ 2월말 재공연

    연예 

  • 4
    “239억짜리 루게릭 병원 완공” 션, 이젠 독립유공자 후손 위한 희망의 집짓기

    연예 

  • 5
    '멜로무비' 최우식X박보영X이준영X전소니, 로맨틱 케미 화보

    연예 

[뉴스] 추천 뉴스

  • 폭동 "과잉진압"이라는 국민의힘…경찰 '분노'
  • 與, ‘이재명 때리기’ 총력… ‘尹과 거리두기’는 고심
  • 경찰, 안가 CCTV 압색 불발…무소불위 경호처 또 불응
  • 美中 관세 통큰 협상 하나…AI 등 첨단산업은 '전쟁터'
  • [서부지법 사태 후폭풍] ‘여당 책임론’ 띄운 민주당
  • 계엄 관여 장성 4명 보직해임…계엄사령관 박안수는?

당신을 위한 인기글

  • “훔친 외제차로 역주행, 12명 부상” 범인은 ADHD 주장하는 중국인
  • “BYD가 이 정도였어?” 독일차 뺨치는 1085마력 고급 전기차 듀오 공개
  • “무파업 운영? 그런 건 없다” 광주 자동차 일자리, 결국 일 났다!
  • “이러니 현토부 소리 듣지” 국산차에 유리한 새로운 전기차 규정
  • “다들 중국 따라하기” 이젠 테슬라도 중국한테 한 수 접었다!
  • “설 연휴에 운전할 아빠들 필독!” 서울시, 연휴 정체 막기 위해 내린 결단
  • “10년째 불륜 속 임신” 김민희, 임신 중에도 64세 홍상수 위해 운전하는 미니쿠퍼
  • “한국에서 이러지 마 제발”불법체류 무면허 운전자와 사고 났을 때 대처법

추천 뉴스

  • 1
    단호박 새우 오징어 튀김 만드는법, 텐동 소스 만들기

    여행맛집 

  • 2
    '尹옹호' 노현희·최준용, 서부지법 시위 참여 '경찰에 욕설' [이슈&톡]

    연예 

  • 3
    박진영 아버지 임종 바로 직후에도 생방송 참여 "내 베스트 프렌드 아빠" 애도 물결

    연예 

  • 4
    다음뉴스, 24시간 뒤 사라지는 ‘타임톡’ 댓글 서비스 바꾼다?

    차·테크 

  • 5
    LG CNS, 미국 베어로보틱스와 MOU…“로봇으로 물류 혁신”

    차·테크 

지금 뜨는 뉴스

  • 1
    ‘싱글맘’ 장가현, 이혼 후에도 남편 빚..도대체 얼마길래

    연예 

  • 2
    금호타이어, '2024년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 신규 취득

    차·테크 

  • 3
    어린이 뮤지컬 ‘만복이네 떡집’ 2월말 재공연

    연예 

  • 4
    “239억짜리 루게릭 병원 완공” 션, 이젠 독립유공자 후손 위한 희망의 집짓기

    연예 

  • 5
    '멜로무비' 최우식X박보영X이준영X전소니, 로맨틱 케미 화보

    연예 

공유하기